일본어 응 どうしたんですか?처럼 시타뒤에 응이 붙잖아요 시타데스까가 아니라시딴데스까 또 예를들면 나이데스를 나인데스라고하고왜
どうしたんですか?처럼 시타뒤에 응이 붙잖아요 시타데스까가 아니라시딴데스까 또 예를들면 나이데스를 나인데스라고하고왜 말 뒤에 받침 ん 응 을 붙여서 말하나요?쉽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
안녕하세요!
우선,
~んだ라는 표현이 있냐 없냐의 차이인데요!
~んだ
① 내적 친밀감이 있는 상대에게 사용하는 가벼운 대화체 표현 (회화체)
② 말하는 이의 " 감정 " 이 담겨져 있음!
③ 힘줌말 / 강조
일단 <~んだ>라는 친구의 표현과 접속 방법을 아셔야 합니다!(예전에 요거 관련해서 답변 남겨서 참고해주세요!)
1) 품사별 접속
2) 왜 저걸 쓰느냐
이 2가지가 포인트입니다!
우선,
품사(동사、형용사、명사 대응)관련해서 접속 방법을 알려드리자면,
➊ 동사 + んだ(んです는 정중체)
<반말형>
食べるんだ
食べたんだ(과거)
食べないんだ(부정)
食べなかったんだ(부정 과거)
<정중형>
食べるんです
食べたんです(과거)
食べないんです(부정)
食べなかったんです(부정 과거)
이런식으로 접속합니다!
보니까,
별로 어려운 게 없죠??
➋ い형용사 + んだ(んです는 정중체)
<반말형>
おいしいんだ
おいしかったんだ(과거)
おいしく ないんだ(부정)
おいしく なかったんだ(부정 과거)
<정중형>
おいしいんです
おいしかったんです(과거)
おいしく ないんです(부정)
おいしく なかったんです(부정 과거)
이런식으로 접속합니다!
※ 주의
❸ な형용사(んです는 정중체)
<반말형>
すきなんだ
➞ 원형에 바로 접속할 때는 어간 +なんだ의 형태로 접속!!!
そう+だ
そう+なのだ(요게 원래 메인)
そう+なんだ(회화체)
そう+なんです(정중체)
すきだったんだ(과거)
すきでは ないんだ、すきじゃ ないんだ(부정)
すきでは なかったんだ、すきじゃ なかったんだ(부정 과거)
では、じゃ는
じゃ는 " 비격식체 " (친한 사람한테 쓰는 ' 회화체 ' 표현)
<정중형>
すきなんです
➞ 원형에 바로 접속할 때는 +なんです의 형태로 접속!!!
そう+です
そう+なのです(요게 원래 메인)
そう+なんです(회화체)
すきだったんです(과거)
すきでは ないんです、すきじゃ ないんです(부정)
すきでは なかったんです、すきじゃ なかったんです(부정 과거)
이런식으로 접속합니다!
원형 접속시
➊、➋와 다르게
な+んです
의 형태로 접속한다는 거 체크해주시구요!
➍ 명사(んです는 정중체)
<반말형>
学生(がくせい)なんだ
➞ 원형에 바로 접속할 때는 명사 +なんだ의 형태로 접속!!!
学生(がくせい)だったんだ(과거)
学生(がくせい)では ないんだ、学生(がくせい)じゃ ないんだ(부정)
学生(がくせい)では なかったんだ、学生(がくせい)じゃ なかったんだ(부정 과거)
では、じゃ는
じゃ는 " 비격식체 " (친한 사람한테 쓰는 ' 회화체 ' 표현)
<정중형>
学生(がくせい)なんです
➞ 원형에 바로 접속할 때는 명사 +なんです의 형태로 접속!!!
学生(がくせい)だったんです(과거)
学生(がくせい)では ないんです、学生(がくせい)じゃ ないんです(부정)
学生(がくせい)では なかったんです、学生(がくせい)じゃ なかったんです(부정 과거)
이런식으로 접속합니다!
이렇게 보시면 되십니다!
접속이 조금 복잡하기는 하지만,
이런 부분은 시간 있으실 때 천천히 예문이랑 같이 보시면 조금씩 이해가 되실겁니다!
な형용사 / 명사 쪽 라인이 좀 지랄맞거든요...... (욕 아님 ㅋㅋ)
자,
이 표현을 쓰면 기존 표현이랑 뭐가 달라지느냐???
漫画好きですか?
漫画好きなんですか?(な형용사 쪽 라인)
そうですか?
そうなんですか?
➊ 가벼운 대화체 표현(회화체 ➞ 내적 친밀감이 오지게 있는 상대한테 말하는 편한 표현)
➋ 말하는 사람의 " 감정 " 이 담겨져 있음!(인간미 한 스푼)
❸ 강조 + 힘줌말
이렇게 3가지의 기능이 들어가있다고 보시면 되십니다!
한국말로는,
문법서 열어보시면 ' ~거든요 ' 라고 나와있기는 하지만,
100%로 1대1 대응을 하지 않는다는 점과,
절대적인 해석이 존재하지 않다는 점!
" 느낌 " 으로 봤을 때,
그런 느낌이 든다!
정도로만 보시면 되신답니다!
자세한 건,
요거 참고해주세요!
감사합니다!